-
목차
해양 생태계는 지구상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어업은 수많은 지역 사회와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무분별한 남획, 불법 어업, 해양 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전 세계 해양 생태계가 위기에 처해 있으며, 어류 자원의 지속 가능성도 위협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어업(sustainable fishing)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도 지속적으로 해양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업 방식입니다. 지속 가능한 어업은 생태계를 보호하면서도 경제적 이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균형점을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
본 글에서는 어업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지속 가능한 어업의 중요성, 주요 실천 방법, 국제적인 협력과 정책, 그리고 개인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어업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무분별한 남획과 해양 환경 파괴
어업은 인류의 중요한 식량 공급원이지만, 과도한 어획 활동과 비효율적인 관리는 해양 생태계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1) 남획(Overfishing)으로 인한 어류 자원 감소
남획이란 어류가 자연적으로 개체 수를 회복할 수 있는 속도보다 빠르게 포획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남획된 어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부작용도 심각합니다.
- 생태계 균형 붕괴
특정 어종이 과도하게 포획되면 먹이사슬이 깨지면서 연쇄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대형 포식어(참치, 상어 등)의 개체 수가 줄어들면 이들이 사냥하던 작은 어류가 급증하게 되고, 이는 플랑크톤 및 해조류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전체적인 해양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합니다. - 어종 다양성 감소
연구에 따르면, 1950년 이후 전 세계 해양 어류의 30% 이상이 심각한 남획 상태에 놓여 있으며, 특히 대형 어종의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습니다.
(2) 불법 어업(Illegal Fishing)과 비선택적 어업 방식의 문제
불법, 비보고, 비규제 어업(IUU Fishing)은 국제적으로 큰 문제이며, 이는 지속 가능한 어업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비선택적 어획 방식
트롤 어업과 같은 방식은 바다 밑바닥을 긁어 수많은 해양 생물을 한꺼번에 포획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표적 어종(bycatch, 혼획)이 다량으로 희생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글로벌 어업에서 잡히는 어류의 약 40%가 비표적 어종으로 버려지고 있으며, 이들은 종종 죽거나 부상을 입습니다. - 불법 조업 증가
국제 해양 보호 구역에서도 불법 조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해양 관리 체계를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서양 참치는 불법 조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강력한 규제가 필요합니다.
(3) 해양 오염과 어업 활동의 관계
어업 활동은 직접적인 어류 포획뿐만 아니라 해양 오염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폐어구(유령어망, Ghost Nets)의 문제
매년 약 64만 톤 이상의 폐어구가 바다로 유실되며, 이는 해양 생물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폐그물과 낚싯줄에 걸린 해양 생물(거북, 고래 등)은 생존이 어려워지며, 플라스틱 성분이 포함된 어구는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더욱 악화시킵니다. - 해양 생태계 오염연안 양식업에서 사용되는 항생제와 화학물질이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으며, 이는 해양 생물뿐만 아니라 인간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지속 가능한 어업의 중요성: 해양 자원의 보호와 경제적 지속 가능성
지속 가능한 어업은 단순히 환경 보호를 위한 개념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수산업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전략입니다.
(1) 해양 생태계 보호와 어류 자원의 지속 가능성 확보
- 해양 생물 다양성 유지
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은 특정 어종의 개체 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해양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기여합니다. - 장기적인 어획량 확보
단기적인 이익을 위해 남획을 지속하면 결국 해당 어종이 멸종 위기에 처하고, 장기적으로는 어획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지속 가능한 어업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어류 개체 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경제적 지속 가능성: 어업 산업과 지역 경제 보호
- 어업 종사자의 생계 보호
많은 연안 지역 사회는 어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어족 자원이 고갈될 경우 수많은 사람들이 생계를 잃게 됩니다. 지속 가능한 어업은 지역 경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도 필수적입니다. -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으로 생산된 수산물은 국제 시장에서 더욱 높은 가치를 인정받으며, 소비자들은 친환경적인 수산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3.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주요 실천 방안
지속 가능한 어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 국제기구, 어업 종사자, 기업, 소비자 등 다양한 주체들이 협력해야 합니다. 어획량 조절, 친환경 어업 기술 도입, 해양 보호구역 확대, 소비자의 인식 변화 등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면서도 경제적인 지속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1) 정부 및 국제기구의 역할: 법적 규제 및 보호 정책 강화
정부와 국제기구는 지속 가능한 어업을 위한 강력한 법적 규제와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핵심 주체입니다.
① 해양 보호구역(Marine Protected Areas, MPAs) 확대
해양 보호구역(MPAs)은 특정 해양 구역에서 어획 활동을 제한하거나 금지하여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정책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해양 보호구역 내 어류 개체 수는 보호구역 외부보다 최대 600% 이상 많으며, 이곳에서 번식한 어류가 보호구역 밖으로 확산되면서 전체 어류 개체 수 증가에도 기여합니다.
- 대표적인 해양 보호구역 사례
- 미국 하와이 ‘파파하나우모쿠아케아 해양국립공원’: 세계 최대 규모의 보호구역으로, 상업적 어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 영국 ‘해양 보호구역 네트워크’: 2030년까지 영국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목표를 추진 중입니다.
- 호주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해양공원’: 산호초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특정 구역에서 어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② 어획 제한 및 금어기 설정
어종 보호를 위해 특정 시기(산란기)에 어획을 금지하는 금어기(fishing moratorium) 정책이 필요합니다.
- 노르웨이의 대구 어업 관리 사례
- 1980년대 심각한 남획으로 대구 개체 수가 급감
- 정부가 강력한 어획 제한 정책(금어기 설정, 어획량 제한, 어업 감시 강화) 도입
- 현재 대구 자원이 회복되어 어업 경제도 안정적으로 운영됨
이와 같이, 어종의 번식 주기를 고려한 어획 규제 정책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치가 장기적으로 어업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③ 불법 조업 방지 및 강력한 단속
불법, 비보고, 비규제 어업(IUU Fishing)은 지속 가능한 어업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이므로 강력한 단속이 필요합니다.
- 불법 조업 감시를 위한 첨단 기술 도입
- 위성 추적 시스템(Vessel Monitoring System, VMS) 적용
- 드론과 AI 기반 감시 시스템 활용
- 국제적인 해양 법 집행 기관 협력 강화
국제 해양 보호 기구(예: 국제해사기구 IMO, UN 식량농업기구 FAO)는 불법 조업 감시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도 불법 조업 제품을 구별할 수 있도록 인증 제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 지속 가능한 어업 기술 도입: 친환경 어업 방식의 확대
기존의 비효율적인 어업 방식은 혼획 문제와 해양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기 때문에 친환경 어업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① 혼획(bycatch) 최소화를 위한 친환경 어업 기법 도입
혼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친환경 어업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 생태계 친화적 어구 사용
- 기존의 트롤망, 저인망 어업은 바다 밑바닥을 긁어 해양 생태계를 파괴
- 친환경 그물망(예: 원형 낚싯바늘, 생태 보호망) 사용으로 혼획률 감소
- 예시: 북미 지역의 연어 어업에서는 돌고래 보호를 위해 특정 형태의 낚싯바늘을 사용
- 선택적 어획 기술 개발
- 특정 크기의 어류만 잡을 수 있는 장치(예: 크기 조절이 가능한 그물) 활용
- 라이트 어업(Light Fishing) 방식 도입: 빛을 이용해 목표 어종만 유인하여 포획
② 양식업(Aquaculture)의 친환경적 운영
양식업은 해양 자원 남획을 줄이는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비효율적인 운영은 오히려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양식업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합니다.
- 친환경 사료 사용: 해양 생물 기반의 사료 대신 식물성 단백질 활용
- 순환식 양식 시스템 도입: 폐수를 정화하고 재사용하는 방식
-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다층 양식 시스템 적용: 조개류, 해조류와 함께 양식하여 환경 영향을 최소화
국제적으로는 ASC(Aquaculture Stewardship Council) 인증을 받은 양식업체가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3) 소비자의 역할: 지속 가능한 수산물 소비 및 인식 개선
소비자는 지속 가능한 어업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친환경 인증을 받은 수산물을 선택하고, 해양 보호 활동에 동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① 지속 가능한 수산물 구매
소비자는 다음과 같은 친환경 인증 마크가 부착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SC(해양관리협의회) 인증: 지속 가능한 어업 방식을 준수한 제품
- ASC(양식관리협의회) 인증: 친환경적인 양식업을 통해 생산된 제품
- Dolphin Safe(돌고래 안전) 라벨: 혼획이 최소화된 제품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면, 기업들도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도록 유도될 것입니다.
② 식습관 변화 및 대체 단백질 소비 확대
- 덜 알려진 어종 소비: 남획이 심한 참치, 연어 대신 대체 어종 선택
- 대체 단백질 소비: 식물성 해산물(예: 해조류 기반 단백질) 활용
③ 해양 보호 캠페인 및 시민 참여
- 비정부기구(NGO) 활동 참여: 그린피스, WWF 등의 해양 보호 활동 후원
- 비치 클린업(Beach Cleanup) 운동 참여: 해양 오염 방지를 위한 시민 참여 활동
이러한 소비자의 작은 실천이 어업 시장과 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데 기여합니다.
'환경과 지속가능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 패널 설치 가이드: 경제성과 환경적 이점 분석 (0) 2025.03.14 페이퍼리스 오피스: 종이 없는 업무 환경 만들기 (0) 2025.03.14 기후 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와 멸종 위기 동물: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의 필요성 (0) 2025.03.13 환경 보호를 위한 정부 정책과 글로벌 협약: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노력 (0) 2025.03.13 에코 브랜딩: 기업의 친환경 마케팅 전략 사례 분석 (0) 2025.03.13 - 생태계 균형 붕괴